주택담보대출 (LTV/DTI) 및 유리하게 신청하는 법
주택담보대출에 관한 뉴스에는 LTV, DTI, DSR 등의
용어가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이 세 지표는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공통 된
심사 기준 역할을 하기에 알아두면 좋다.
LTV(주택담보대출비율)
LTV(주택담보대출비율)는 Loan to Value의 약자이다.
Loan은 대 출금액, Value는 집값이라는 의미이므로,
LTV는 ‘집을 은행에 담보로 제공하고 그에 대한
대가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 를 말한다.
예를 들어 주택 가격이 5억 원인 경우
LTV 70%를 적용하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최대한도는 ‘(5억 원 × 70% = 3.5억 원)’이 된다.
말 그대로 최대한도이므로 담보로 제공한 주택에
이미 임차인이 살고 있는 경우나 주택의 방 개수에
따라 최대한도는 변동될 수 있다.
DTI(총부채상환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는 Debt to Income의 약자이다. 여기서
Debt은 대출을 신청하는 소비자의 연간 갚아야 하는 이자와 원
금의 합을, Income은 연간 총소득을 의미한다. 즉, DTI는 ‘본인
의 연간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대출한도액’이다.
DTI = (모든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연간 이자 및
원금상환액 + 기존 기타부채 이자) ÷ 연간 총소득
주택담보대출 심사를 할 때 개인의 모든 대출
(주택담보대출, 자동차 대출, 신용대출, 학자금대출,
마이너스통장 등)에 대한 이자와 원금 상환액을
모두 고려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DTI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 고 깐깐해진 지표다.
DTI와 DSR 공통적으로 기존에 받고 있는
대출금액을 고려하므로, 주택담보대출한도를
높게 받기 위해서는 기존 대출을 미리 상환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마이너스 통장은 한도 해제를 한 후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하는 게 좋다.
첫째, 집값의 전액이 아니라 일정 부분만 대출이
가능하다는 점.
둘째,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때 본인의 소득과
기존에 이미 받고 있는 대출금액에 따라 대출
가능한 한도가 달라진다는 점.
그래야 주택구입에 필요한 자금 계획을 세우는데
오류를 줄 일 수 있다.
'[재테크 가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주식투자 꾸준하게 장기전으로 가라 (0) | 2021.01.29 |
---|---|
환전팁 저렴하게 잘 하는 방법 5가지 팁 (0) | 2020.10.21 |
대출금리 낮추는 방법 깍아볼까? (0) | 2020.10.21 |
제2금융권 대출 갈아타기 및 취소하는법 (0) | 2020.09.14 |
펀드공부 꼭 만기 3년을 채워야 하나요? (0) | 2020.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