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팁]

DISC 성격유형 : 신중형, 안전형 분석 결과

신중형(C)

신중형인 사람들은 말과 행동이 느리며 논리적이고 신중한 유형 으로 내향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안정형과 다른 점이 있다면 사 람들과의 관계보다는 일에 우선순위를 두며, 통계나 숫자를 다루는 일을 선호한다는 점이다. 만약 주변에 대인관계가 서툴고 항상 경 직되어 있으며 예민한 사람이 있다면 신중형(C)일 확률이 높다. 이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대해서는 회피하거나 대충 하는 일이 절대 없다. 스스로에 대한 기대치가 높기 때문에 결과물에 대 해서 적당히 타협하지 않고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포기하지 않는 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과 협업을 하거나 타인을 설득하는 직무나 직업에서는 성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도리어 극심한 스트레스만 유 발될 뿐이다. 면접 과정에서 만나는 신중형(C)은 무뚝뚝하다 못해 퉁명스러 워 보이기까지 한다. 아무리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표현되는 모습이 무뚝뚝해 있으면 면접관에게는 좋은 인상을 주기 어렵 다. 질문에 대한 답변도 단답형으로 짧게 답하는 경우가 많다. “과 거 경험 중에서 성취 욕구를 가장 크게 느꼈던 적은 언제인가요?”라 는 질문에 신중형(C)은 “없습니다”, 내지는 “대학교 졸업 작품 때입 니다”라며 짧게 답변을 마무리한다. 가끔은 면접관의 피드백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는 이유 로 반박을 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이런 경우 면접관은 다음 질문을 계속 이어나가기가 버거워 면접을 빨리 마무리하게 된다. 물론 부 정인 이미지만을 남긴 채로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중형(C)인 면 접자는 면접관을 대할 때 좀 더 밝은 표정으로 면접에 임하는 것이 유리하다. 답변을 할 때도 짧게 마무리하는 것이 아니라 면접관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서 답변을 하면 면접관에게 좋은 이미지를 남 길 수 있다. 특히 신중형은(C)은 숫자나 데이터에 강점을 가지고 있 기 때문에 자신의 주장에 통계나 숫자를 적절히 사용하면 신뢰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 관련 직업으로는 예술가, 철학자, 교수, 연구가, 통계학자, 수학자, 화학자, 천문학자, 프로그래머, 데이터베이스 관 리자 등을 들 수 있다.

안정형(S)

안정형인 사람들은 말과 행동이 비교적 느리고 사람들과의 안 정적인 관계 유지를 선호하는 유형으로 다소 내향적인 모습을 보인 다. 오랜 시간 묵묵히 내 친구가 되어주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도 조 언보다는 위로를 해주는 친구가 있다면, 안정형일 확률이 높다. 소 위 우리가 말하는 ‘착한 사람’이다. 이들은 일보다는 사람과의 관계에 우선순위를 두며, 다른 사람 을 돕는 것을 즐겨 한다. 업무에 있어서도 안정적이며, 예측이 가능 한 업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위험을 회비하고, 우유부단 하여 결정을 쉽게 내리지 못하고 누군가다 결정을 해주길 바란다. 이런 유형의 사람이 팀장이 되면 팀에 소속되어 있는 팀원들은 속을 썩을 수밖에 없다. 면접 과정에서 만나는 안정형 후보자는 질문에 대한 답을 이끌 어 내기가 쉽지 않다. 면접관이 원하는 답을 바로 하기보다는 어느 책의 구절을 빌리거나 비유를 통해 자신의 뜻을 전달한다. 만약 면 접관이 사교형(I)이어서 당신의 말을 잘 해석한다면 다행이지만, 신 중형(S)인 면접관이 있다면 있는 그대로 사실만 받아들이고 사전적 의미로만 단어를 해석하는 면접관에게는 정말 답답한 면접자로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안정형인 면접자는 최대한 면접관이 이해하기 쉽 도록 “예”, “아니오”를 서두에 먼저 명확히 언급한 후, 답에 대한 부 연 설명을 간단명료하게 사실에 근거해 답하는 연습을 하면 면접 과 정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관련 직업으로는 교사, 일반직 공 무원, 은행원, 성직자, 공학자, 역사, 전통 관련업 등을 들 수 있다.

 

DISC 성격유형은 단독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각 유형의 패턴 이 어떻게 분포되는지에 따라 마흔 개로 세분화하여 좀 더 구체적인 분석도 가능하다.온라인(disc.aiselftest.com/index.html)에서 무료검사 가 가능하니, 간단히 자신의 대표 유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