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종목 고르는법 : 시장의 주도주, 테마의 대장주
주식시장의 밀물과 썰물처럼 돈의 흐름에 주목하고
주도 업종의 주도 종목을 공략해야 한다.
돈이 몰리는 업종은 투자심리가 좋을 때는 더 크게 상승하고
투자심리가 나쁠 때는 비교적 적게 빠진다.
시장을 상승 견인하는 주도 업종으로 돈이 몰리는 현상처럼
주도 업 종을 상승 견인하는 것은 업종 내 1~2개 종목으로
돈이 몰리기 때문이다.
주도 업종을 상승 견인하는 종목을 ‘시장의 주도주’라고 하며
테마군을 상승 견인하는 종목을 ‘테마의 대장주’라고 한다.
시나리오 전략에서 주도 업종과 주도 테마를 공략하듯
이 시장의 주도주와 테마의 대장주를 공략하는 것이
시장에서 가장 유리한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다.
시장의 주도주, 테마의 대장주 공략 전략은 기준과 원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시장의 감 각적인 면을 살펴보는 것으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기법차트에
해당하 는 두 종목이 있다고 가장 하자. A 종목은 원하는
매수가격까지 내려왔다. 그런데 B 종목 은 원하는 매수가격까지
내려오지 않았다. 대개 종목들은 시장과 함께 전반적으로
오르내 리는데 시장의 주도주와 테마의 대장주 또는
강한 종목들은 다른 종목들보다 오를 때는 더 크게 오르고
빠질 때는 적게 빠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A 종목보다
B 종목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B 종목이
시장의 주도주 또는 테마의 대장주라면 두 말할 것도 없이
B 종 목을 공략해야 한다. 매수 타이밍을 고려한 A 종목보다
시장의 주도주, 테마의 대장주처럼 강한 종목이 우선순위다.
설령 B 종목이 강한 종목이 아니더라도 A 종목을 공략하는
것보다 B 종목이 원하는 타 이밍까지 내려오길 기다렸다가
공략하는 것이 확률 높은 시나리오 전략이 될 것이다.
물론 A 종목이 반등하고 B 종목은 내려오지 않아 공략에
실패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문제가 안 된다. 백발백중의 법칙,
매수하지 않았다고 해서 손실을 보는 것은 아니다.
시장은 주식을 사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확신에차
진입해 확신의 끝에서 청산하라.
설령 B 종목이 강한 종목이 아니더라도 A 종목을 공략하는
것보다 B 종목이 원하는 타 이밍까지 내려오길 기다렸다가
공략하는 것이 확률 높은 시나리오 전략이 될 것이다.
물론 A 종목이 반등하고 B 종목은 내려오지 않아
공략에 실패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문제가 안 된다.
백발백중의 법칙, 매수하지 않았다고 해서 손실을
보는 것은 아니다. 시장은 주식을 사라고 강요하지 않는다.
확신에 차 진입해 확신의 끝에서 청산하라.
'[재테크 가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금융권 대출 갈아타기 및 취소하는법 (0) | 2020.09.14 |
---|---|
펀드공부 꼭 만기 3년을 채워야 하나요? (0) | 2020.09.10 |
주식재테크 시작, 돈은 어디로 움직이나? (0) | 2020.09.09 |
금테크와 은테크 포트폴리오에 추가해야할까? (0) | 2020.09.08 |
부동산투자 지식산업센터 세금알아보기 (0) | 2020.09.04 |